151101절망의나라행복한젊은이들_소감문.hwp


151101절망의나라행복한젊은이들_소감문.pdf



절망의 나라의 행복한 젊은이들_후루이치 노리토시_이연숙

과천녹색당 세상을 바라보는 몇 가지 시선공부모임 _ 깃털 | 2015.11.1

 

 

이 책에 의하면, 젊은이의 필요 = 빈곤 해결 + 승인 욕구 해소

   - 빈곤 해결 : 우리 사회에서 프리타를 통해 친구와 놀고 콘서트 가고 여행을 하는 등 소소한 즐거움을 누리는 생활이 가능한가?

   - 승인 욕구 : 이 책에서 말하는 일본 젊은이의 승인 욕구는 인정받고 싶은 욕구 그 자체이고 생계는 따로 해결 가능. 그러나 우리 사회에서는 어떠 일이든 인정을 받으면 바로 금전적 보상으로 전환해야 하는 체계 아닌가? 위나 아래나 모두, 결국 돈으로 보상해달라고 한다. 그렇지 않으면 왜 그 일을 왜 하냐며. 별풍선.

 

(일본 젊은이들은) “굳이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모두 해결하지 않아도 살아갈 수 있게 되었다. 다양한 형태의 공동체를 통해 해결. 젊은이들이 반란을 일으키지 않는 이유 가운데 하나다.” 우리가 직면한 문제들은 저자가 바라본 일본처럼 다양한 문제들인가, 혹은 매우 기초적이거나 생존적인 문제인 건 아닌가? 해결하지 않고도 일본 젊은이들처럼 각자 해법을 찾을 수 있는 그런 문제들인가?

 

우리 사회도 행복한 계급 사회로 갈 수 있을까? 의사 결정에 분주한 일등 시민과, 태평하게 하루하루를 소일하는 이등 시민으로 구성된. 생각할 점은, 이른 바 <물적 토대> 문제, 행복한 이등 시민을 만드는 문제. 행복한 이등 시민 = 새로운 식민지.

 

왜 청년일까? 청년을 위로하기 위해서도 아니고, 심지어 청년의 행복을 위해서도 아니다. 한 사회의 구성원들이 자유를 잃고 사육되고 착취되며 그날그날을 자기 삶을 소모하는, 그런 사회로 가는 징후가 지금 청년의 삶과 삶의 환경에서 읽히기 때문이며, 청년이 아니라, 내가, 혹은 우리가, 단호히 그런 사회를 거부하기 때문이다.

 

이 책의 생각대로 말하자면, “무언가를 하고싶다.” 혹은 이대로는 안 되는데.”라고 말하며, 자신의 지루한 일상을 바꿔줄 강력한 비일상을 희망하는, ‘불끈하는 젊은이들, 분명히 존재하지만 무기력하다. 무기력하기에 월드컵이 끝나면, 봉사 활동을 마치면, 결국 다시 일상으로 복귀한다. 존재하지만 스스로 활성화되지 못하는 에너지다. 그래서 스스로 정치적으로 무력하고, 그게 당연하다고 여긴다. 여기에 간단명료한 출구를 제공하는 기획가planner 내지는 촉진가facilitator가 필요하다는 게 저자의 주장이라 할 수 있다. 의지를 가진 촉매 그룹의 필요성을 함의하는 것일 수 있다. 공감을 가장한 푸념어린 동어반복 - “힘들어!” “얼마나 힘들겠어.” - 은 물론이고, 잠시 불끈하고 다시 흩어지게 되는, 월드컵이나 일시적 봉사 활동 같은, 장기 전망에 대해서는 될 대로 되라는 재밌는 활동으로는 큰 절망과 작은 행복에서 벗어나지 않겠다는 결심만 굳히게 할 뿐이다. 저자는 뜻 있는 집단이 마음 둘 곳으로 여겨지면 당초의 목적 따윈 잊게 된다고 말함으로써, 이런저런 활동들 자체에 의미가 있다는 식의 낙관론에 쐐기를 박는다. (마음 둘 곳이 된다는 게 문제가 있다는 뜻이 아니다. 자기 활동에 단독적인 의미부여를 하는 경우는 대체로 문제가 있다. 상대화, 맥락화하지 않는 고립된 활동에 머무를 때 말이다.) 에너지의 이와 같은 조직화가 곧 정치요, 이를 담는 그릇이 정치세력 아닐까.